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8권 제2호 2006년
원저


심횡문근종의 산전 진단과 출생 후 예후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학교실
김지선,원혜성,김종준,마진영,심재윤,이필량,김암


Prenatal diagnosis and postnatal outcome of cardiac rhabdomyoma

Kim JS,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tential risk factors for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patients with placenta previa totali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derived from patients with placenta previa totalis from June 1994 to July 2004 at the Ajou Medical Center. During the 11-year period, 315 cases of placenta previa totalis were identified. Patients with placenta previa totali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nal age, parity, prior abortion and cesarean section, placental position,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for association with outcomes. Prognostic factors for risk of maternal complications such as massive transfusion, ICU admission, DIC, adherent placenta, Hysterectomy in woman with placenta previa totalis were analyz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hi-square test, Student’s t-test.

Results: Out of 315 cases with placenta previa totalis, 105 (33.2%) had a history of previous cesarean section (C/S). Maternal complications included massive transfusion (p<0.001), intensive care unit (ICU)
care (p<0.001),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DIC, p=0.045), adherent placenta (p<0.001), and emergency hysterectomy (p<0.001), and these were observ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among patients with a history of previous C/S compared with no C/S. Patients with anteriorly positioned placenta were noted in 32% of patients, and this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massive transfusion (p=0.001), ICU care (p=0.032), adherent placenta (p=0.02), and emergency hysterectomy (p=0.003), compared with laterally or posteriorly positioned placentas. A history of previous C/S and anterior position of the placenta were found to be risk factors for massive transfusion (odds ratio; OR=6.96), ICU admission (OR=10.07), DIC (OR=12.62), adherent placenta (OR=5.28), as well as emergency hysterectomy (OR=11.90). History and number of previous artificial abortions were not associated with maternal complications.

Conclusion: In the presence of a previous history of C/S and anterior position of the placenta, patients with antepartum diagnosis of placenta previa totalis are considered to be at a marked risk for maternal complications.

목적: 전치태반은 임신 후반기 출혈 원인 중 하나로 주산기 이환 및 사망을 증가시킨다. 이에 전치태반의 형태 중 임신 예후가 가장 불량한 완전 전치태반이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모성 주산기 합병증을 산전에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완전 전치태반으로 진단된 산모 중 본원에서 분만하여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전 전치태반은 본원초음파검사에서 진단되어 분만전까지 완전 전치태반이 유지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들을 산모의 연령, 분만력, 유산력, 제왕절개 기왕력 유무 등의 산모 특성과 초음파검사 결과 태반의 위치에 따라 분류한 뒤, 각 군에서 대량수혈, 중환자실 입원,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응급 주산기 자궁절제술 등과 같은 모성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를 비교하였으며, 태반유착에 대한 조사도 시행하였다. 결과는 chi-square test, Student’s t-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315예 중 105예(33.2%)에서 제왕절개 분만의 기왕력이 있었다. 제왕절개분만의 기왕력을 가진 군에서는 대량수혈(p<0.001), 중환자실 입원(p<0.001),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p=0.045), 유착태반(p<0.001), 응급 주산기 자궁절제술(p<0.001)등의 주산기 합병증 발생 빈도가 기왕력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태반이 전방에 위치한 경우는 100예(32%)가 있었고, 대량수혈(p=0.001), 중환자실 입원(p=0.032), 유착태반(p=0.02), 응급 주산기 자궁절제술(p=0.003) 등의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가 태반이 측, 후방에 위치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제왕절개분만의 기왕력이 있으면서 태반의 위치가 전방에 있는 경우 대량수혈(OR=6.96),중환자실 입원(OR=10.07),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OR=12.62), 유착태반(OR=5.28), 응급 주산기 자궁절제술(OR=10.07)의 발생 위험성이 더욱 높았다. 인공유산의 과거력이나 횟수는 주산기 결과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완전 전치태반이 있는 산모에서 제왕절개술의 기왕력과 태반의 전방 위치가 불량한 모성 주산기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산전 예측인자로 사료된다.

  • Key Word : Cardiac tumor, Rhabdomyoma, Tuberous sclerosis, Prenatal diagnosis postnatal outcome
  • 교신 저자 :
  • 전문 파일 : ViewView  Downdownload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