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8권 제3호 2006년
원저


산전에 발견된 태아 복강 내 종괴의 주산기 예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영상의학과학교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조연경*,김문영*,정진훈*,양재혁*,이영호, 한병희, 조정연


Perinatal outcomes of prenatally diagnosed fetal abdominal masses

Yeon Kyung Cho*, Moon Young Kim*, Jin Hoon Chung*, Jae Hyug Yang*, Young Ho Lee, Byoung Hee Han, Jeong Yeon Cho,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of Radiology, Cheil General Hospital and Women's Healthcare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목적 : 산전 초음파검사에 의해 발견된 태아의 복부 종괴의 임상적 특징과 주산기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검사상 태아의 복부종괴가 발견된 63예의 의무기록과 전화인터뷰를 통해 복부 종괴를 진단한 임신 주수, 초음파소견, 출생후 진단, 신생아 수술 여부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연구 기간 동안 산전 초음파검사를 시행받은 35,692건 중 태아의 복부종괴가 발견된 경우는 63예로 1000명 당 2명의 빈도를 보였다. 63예를 발생장기 별로 구분하면 난소24예(38.1%), 위장관 중복낭종 11예(17.5%), 장간막 낭종8예(12.1%), 담도계 4예, 간에서 4예, 부신 3예, 신장 2예, 비장 2예, 그 기원을 추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5예 있었다. 산전에 복부 종괴를 발견한 평균 임신주수는 28.7주이었고 총 63예 중 52.4%에 해당하는 33예에서 추적검사 중 소실되거나 크기가 감소하였다. 11예에서 출생 후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모든 예에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산전에 태아 내 복부 종괴가 발견된 경우 산전 추적검사를 통한 변화의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경우 양호한 예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전에 복부 종괴가 발견된 태아의 부모를 상담하는데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inatal outcomes of regnancy with prenatal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fetal abdominal mas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gestational weeks at prenatal diagnosis, ultrasonographic finding, postnatal diagnosis and postnatal surgical procedure from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 of 63 cases with a prenatal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fetal abdominal masses diagnosed at Cheil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5.

Results : During the study period, the incidence of antenatally detected fetal abdominal mass was 0.2%(63 cases out of 35.692 women). Of the 63 fetuses with abdominal mass, 24 fetuses (38.1%) had ovarian cysts, 11 fetuses (17.5%) had enteric duplication cysts, 8 fetuses (12.7%) had mesenteric cysts, 4 fetuses had choledochal cysts, 4 fetuses had hepatic mass, 3 fetuses had adrenal mass, 2 fetuses had mass in kidney, 2 fetuses had splenic cyst and 5 fetuses had abdominal mass in unknown origin. Mean gestational age at prenatal diagnosis was 28.7 weeks. Regression of the sonographic finding was observed in 33 cases (52.4%). Postnatal surgical procedure was done in 11 cases and none of them had any adverse sequelae.

Conclusion : Most cases of prenatally diagnosed fetal abdominal mass had favorable outcome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n affirmative influence on counseling women with such prenatal ultrasonographic findings.

  • Key Word : Fetal abdominal mass, Ultrasonographic findings, Perinatal outcomes
  • 교신 저자 :
  • 전문 파일 : ViewView  Downdownload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