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7권 제1호 2005년
종설


다태임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김행수


Multiple Gestation

Haeng-Soo Kim,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Objective: In a review of 64 fetuses with ectopic premature contraction, our objectives were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structural heart defects and fetal compromise, to evaluate the natural course of these arrhythmias and the intrauterine management, and assess the perinatal and long-term outcomes.

Methods: We review the medical records of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fetal ectopic premature contraction at Asan Medical Center from July 1996 to December 2003. The ectopic premature contractions were classified as either premature atrial contraction (PAC) or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 and the outcomes of the infant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59 fetuses with PAC,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final outcome for 37 of them. A normal heart rhythm was achieved during pregnancy in 7 fetuses and after birth in 28. One fetus developed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ostnatally and require medication. One fetus was diagnosed with a partial mole and the pregnancy was terminated. In the PAC group, there was one structural heart defect (VSD) and no remarkable findings regarding perinatal outcome. Among 5 fetuses with PVC, 1 fetus showed a normal heart rhythm during pregnancy and 2 after birth. One fetus showed a small amount of pericardial effusion and was terminated at other hospital against our recommendation. In the other case, VSD and PDA were diagnosed postnatally and the PVC disappeared three months after birth without treatment.

Conclusion: Isolated ectopic premature contractions, including PAC and PVC, resolve spontaneously either prenatally or early in the postnatal period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risk factors for cardiac anomalies or poor perinatal outcome.

목적 : 이소성 조기 수축(조기 심방 수축, 조기 심실 수축)으로 진단 받은 64명의 태아에서 구조적 심장 이상과 태아 이상 소견의 빈도를 분석하고, 이들 부정맥의 자연 경과와 주산기 및 장기간의 예후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7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정밀 초음파실에 내원하여 이소성 조기 수축으로 진단 받은 산모와 출생한 신생아의 경과와 예후를 의무기록과 전화 면담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조기 심방 수축을 보인 59명의 산모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한 37명 중 7명은 임신 중에, 28명은 출생 후 정상 소견을 보였고, 1명은 출생 후 상실성 빈맥으로 발전하여 약물 치료를 받았고 현재 정상 심박동을 보이며 경과 관찰 중이다. 1명은 부분 포상 기태로 진단되어 임신을 종결하였다. 이들 중 심장 기형은 심실 중격 결손이 한 예 있었으며 부정맥과 관련된 주산기 예후의 특이 사항은 없었다. 5명의 조기 심실 수축 산모에서는 1명은 임신 중에, 2명은 출생 후 정상 소견을 보였고, 1명은 소량의 심낭 삼출액이 동반되었는데 환자가 원하여 타병원에서 임신을 종결하였다. 나머지 한 명은 출생 후 심실 중격 결손증과 동맥관 개존이 진단되었고 조기 심실 수축이 3개월간 지속되었으나 특별한
치료 없이 정상화되었다.

결론 : 대부분의 조기 심방 수축 및 조기 심실 수축은 임신 진행 중 또는 출생 후 소실되며 좋은 주산기 예후를 보인다.

  • 교신 저자 :
  • 전문 파일 : ViewView  Downdownload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