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10권 제1호 2008년
원저


임신 주수별 쌍태아의 출생 체중 분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박서연, 송태복, 김윤하, 김철홍, 조문경, 김종운, 장유진, 조혜연, 박주미, 김은경, 박수진*


Birth Weight Distrubution of Twin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Seo Yeon Park, Tae Bok Song, Yoon Ha Kim, Chul Hong Kim, Mun Kyung Cho, Jong Woon Kim, Eu Gene Chang, Hye Yeon Cho, Ju Mi Park, Eun Kyoung Kim, Su Jin Park*,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Jeonju, Korea*

목적 : 쌍태아의 출생 시 체중을 바탕으로 쌍태아의 태아발육곡선을 그려, 단태아의 발육곡선과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자궁 내 태아 발육 부전 및 과체중아의 기준을 마련하여 쌍태아의 주산기 관리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산모에서 태어난 쌍태아 819쌍, 1,638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각 임신 주수에 따른 평균 출생체중, 10 백분위 체중, 50 백분위 체중, 90 백분위 체중을 얻었고 또한 이 결과를 단태아의 발육곡선과 비교하였다. 더불어 태아 성별, 출산력, 융모막의 형태, 보조 생식술 사용 여부에 따라서 각 임신주수에서의 출생체중 또는 성장 불일치 정도를 구하였다.
결과 : 임신 21주에서 40주까지 10, 50, 90 백분위 체중을 가지고 쌍태아 태아 발육 곡선을 작성하였다. 쌍태아의 체중은 임신 33주까지는 단태아와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출생체중의 차이가 더욱 증가하였고 임신 37주 이후부터는 쌍태아의 50 백분위 체중이 단태아의 10 백분위에 수렴하는 양상을 보였다. 쌍태아에 있어서 경산부가 초산부보다, 이중 융모막이 단일 융모막보다 평균 태아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이나 보조 생식술 사용 여부에 따른 태아 체중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쌍태아의 발육 곡선은 단태아와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쌍태임신시의 임상적 관리는 쌍태 임신 고유의 발육곡선에 근거하여야 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the birth weight curve of twin on the basis of gestational weeks and to compare with that of singlet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twin pregnancy delivered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6 were reviewed. Eight hundred and nineteen twin pairs (1,638 infants) were enrolled our study population. The newborn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and the mean, 10th, 50th, and 90th percentile of birth weight for each gestational weeks were calculated. Birth weight curve of twin was compared with that of singletons.
Results: The birth weight of twin pregnancy fell below that of singleton pregnancy after 33 weeks of gestation. The 50th percentile for twins falls below the 10th persentile for singleton after 37 weeks. The mean birth weight in multiparities was heavier than in primiparities. The mean birth weight in dichorionic twin was heavier than in monochorionic twin.
Conclusion: Twin specific birth weight curve on the basis of gestational age was presented. The growth pattern of twin infants was different from that of singleton infants and this can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twin pregnancy.

  • Key Word : Twi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Intrauterine growth curve
  • 교신 저자 : tbsong@chonnam.ac.kr
  • 전문 파일 : ViewView  Downdownload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