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11권 제1호 2009년
원저


임신 제 1 삼분기 태반 부피와 제 2 삼분기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속도파형이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손가현,김영한,권자영,곽동욱,임승철,이수진,박용원


First Trimester Placental Volume and Second Trimester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in the Prediction of Perinatal Outcomes

Ga-Hyun Son,Young-Han Kim, Ja-Young Kwon, Dong-Wook Kwak,Seung-Chul Lim, Soo-Jin Lee, Yong-Won Park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목적 : 임신 제 1 삼분기에 삼차원 입체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한 태반부피가 불량한 주산기 예후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제 2 삼분기의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속도파형과 비교하여 볼 때 고위험 임신을 예측하는데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임신 제 10주 0일부터 제 13주 6일까지의 단태아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시기에 삼차원 입체 초음파를 사용하여 태반부피를 측정하였다.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속도 파형은 임신 제 2 삼분기에 측정하였고 양측 자궁동맥의 pulsatility index (PI)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자간증, 조기분만, 저체중 출생아, 5분 APGAR 점수,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여부를 주산기 예후인자로 사용하였다.
결과 : 219명의 산모 중 27명(12.3%)에서 임신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CRL과 태반 부피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정태반부피(PQ)와 임신 제 2삼분기의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속도 파형의 PI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Q는 저체중 출생아를 분만한 경우와 신생아가 집중치료실 에 입원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으며, 제 2 삼분기의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속도 파형의 PI는 저체중 출생아를 분만한 경우에 적정 체중아를 분만한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저체중 출생아를 예측하는 선별검사로서의 PQ와 자궁동맥 혈류속도 파형의 PI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유사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냈다.
결론 : 제 1 삼분기의 PQ와 제 2 삼분기의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속도 파형의 PI값이 모두 저체중 출생아를 분만한 임신부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두 검사 모두 저체중 출생아 분만을 예측하기에는 그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아 선별검사로서 사용하기에는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제 1 삼분기 태반부피 측정은 임신 초기에 저위험군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Objective: To determine to what extent the placental quotient (PQ: placental volume/crown-rump length) is able to detect adverse perinatal outcomes and to compare the value of first trimester placental volume and second trimester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for predicting adverse perinatal outcome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study comprising of 263 women with singleton pregnancies attending our hospital for nuchal translucency screening at 10-13 weeks of gestation. Three dimensional ultrasound was used to obtain images for measurement of placenta volume at 10-13 weeks of gestation. In addition, Doppler assessment of both uterine arteries was carried out for measurement of the pulsatility index (PI) in the second trimester and the mean PI of the two vessels was calculated. The variables of adverse perinatal outcomes were preeclampsia, preterm delivery,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5-minute APGAR score, and admission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Results: Of the initial 263 pregnancies originally participating, 219 women who delivered at our institution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Pregnancy complications occurred in 27 (12.3%) of the 219 pregnancies. Comparison between crownrump length and placental volume prov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0.474, p<0.001).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PQ and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PI. PQ was significantly lower in SGA group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group (p=0.049, p=0.019, respectively).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P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GA group (p=0.024). PQ in the first trimester and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in the second trimester had similar sensitivities for predicting SGA.
Conclusions: PQ in the first trimester and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PI in the second trimester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SGA group compared to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nd have similar sensitivities for predicting SGA. While both methods seem to be insufficient for screening, the PQ method has the potential advantage of being performed in the first trimester.

  • Key Word : 태반부피, 자궁동맥 혈류 속도 파형, 주산기 예후,Placental volume,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Perinatal outcomes
  • 교신 저자 : yhkim522@yuhs.ac
  • 전문 파일 : ViewView  Downdownload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