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11권 제2호 2009년
원저


산전초음파로 진단된 태아 간 석회화의 임상적 의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학교실
김민균,원혜성,심재윤,이필량,김암


Clinical Significance of Fetal Hepatic Calcification Detected by Prenatal Ultrasound

Min-Gyun Kim,Hye-Sung Won, Jae-Yoon Shim, Pil-Rang Lee, Ahm Kim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목적 : 산전초음파로 진단된 태아 간 석회화의 원인 및 출생 후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1995년 5월 부터 2009년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임신 중기 정밀 초음파검사에서 태아 간 석회화 소견을 보인 28명에 대하여 간 석회화 병변의 특성 및 동반 기형,그리고 출생 후 예후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모체 혈청을 이용한 TORCH (Toxoplasma, rubella, cytomegalovirus, and herpesvirus)검사 그리고 태아 염색체 이상 및 감염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양수 천자 또는 제대 천자를 시행하였다.
결과 : 총 28예에서 태아 간 석회화 소견을 보였다. 이 중 18명이 간 석회화 이외의 다른 동반 기형이 있었고 10명은 동반 기형 없는 단독 간 석회화 소견을 보였다. 태아염색체검사를 시행한 20예 중 19예는 정상 핵형 (46,XY or 46,XX)이었고 1명은 정상 변이형으로 간주되는 46,XY, inv(9)(p12q13)이었다.
태아 감염은 28예 중 1예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으로 나타났다. 동반 기형이 없는 단독 간 석회화 소견을 보인 10예 중 5예는 단일 병변이었고 5예는 다발성 병변으로 모두 출생 후 추적 관찰에서 건강상태가 양호하였다. 동반 기형이 있었던 18예 중 17예에서 다발성 병변이었고 1예는 단일 병변이었다.
이 중 3예는 심한 동반 기형으로 임신 중절을 하였고 3예는 태변성 복막염 소견으로 출생 후 수술을 받았으며, 선천성 심장기형이 있었던 1예도 출생 후 심장 수술을 시행받았고 3예는 경과 관찰 중 소실되었다.
결론 : 태아 간 석회화 소견이 보일 때에는 정밀한 초음파검사와 더불어 염색체이상과 자궁 내 감염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다른 동반 기형이 없고 감염 및 염색체 이상이 없는 단독 간 석회화의 경우에는 출생 후 예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산전 상담시 부모를 안심시켜 주는 것이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auses and postnatal outcomes of fetal liver calcifications that were detected by prenatal ultrasou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ases with fetal liver calcifications that were encountered at the investigators’ institution over a 15- year period from 1995. A detailed ultrasound imaging was conducted to search for associated anomalies. Maternal TORCH (Toxoplasma, rubella, cytomegalovirus, and herpesvirus) analysis, and amniocentesis or cordocente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fetal infections and karyotype anomalies.
Results: Twenty-eight pregnant women with fetal liver calcifications were identified. Eighteen of 28 patients had additional fetal abnormalities that were found on sonographic examinations and ten of 28 cases of fetal liver calcifications were isolated. Twenty patients underwent amniocentesis or cordocentesis and 19 patients were found to have normal karyotype (46,XY or 46,XX), and one case showed 46,XY, inv(9)(p12q13), which is considered a normal variant. One case was identified as cytomegalovirus infection. Of 10 patients with isolated liver calcifications, five cases were single calcifications and the other five cases were multiple calcifications. All cases with isolated fetal liver calcifications had a good postnatal outcome. Of 17 cases with associated fetal anomalies, all except one were presented with multiple calcifications; three patients underwent pregnancy termination because of severe combined anomalies, three infants associated with meconium peritonitis had small bowel repair, one infant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had cardiac surgery, and three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Conclusion: A detailed fetal ultrasound scan and amniocentesis for karyotype and infection analysis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evaluation of pregnant women with fetal liver calcifications. Isolated cases, without abnormal karyotypes and infections, have a good prognosis in this study.

  • Key Word : 간 석회화, 태아 감염, 염색체이상, 산전초음파, 예후, Liver calcification, Fetal infection, Chromosomal abnormality, Prenatal ultrasound, Prognosis
  • 교신 저자 : hswon@amc.seoul.kr
  • 전문 파일 :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