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11권 제3호 2009년
원저


초산모에서의 회음절개를 시행한 질식 분만 후 질식초음파 검사를 통한 항문괄약근 손상의 조사

을지의과대학교 을지병원 산부인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최은주,서용수⋅노정래⋅최석주⋅김대운⋅신정환⋅홍서유


Postpartum Transvaginal Ultrasound Evaluation of Anal Sphincter Injury During Vaginal Delivery with Episiotomy in Primiparous Women

Eun Joo Choi,Yong Soo Seo, Cheong-Rae Roh, Suk-Joo Choi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Eulji University Hospital, Seoul,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1,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산모의 episiotomy를 시행한 질식분만 시 항문괄약근의 손상 정도를 질경유초음파를 이용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8년 3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서울의 을지의과대학교 을지병원에서 질식분만을 시행한 초산모 중 조산, 회음부 손상의 과거력, 대변실금 증상, 치질 및 항문 주위 수술 과거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71명을 대상으로 분만 후 72시간 내에 질경유초음파를 이용하여 항문괄약근 검사를 시행하여 항문괄약근의 손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괄약근의 손상이 있었던 군을 Ⅰ군으로, 손상이 없었던 군을 Ⅱ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 질경유 초음파검사에서 71명의 질식분만을 시행한 초산모 중 12.7% (9/71)에서 외부괄약근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항문괄약근의 손상이 확인되었던 경우의 67% (6/9)에서는 분만 시에는 항문괄약근의 손상을 알 수 없었다. 괄약근의 평균 두께는 외부괄약근과 내부괄약근이 각각 17.0±4.7 (mean±SD), 22.1±6.1 cm이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 외에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인자는 없었다. 외음절개 방법, 흡입분만 시행에서도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아시아 인종과 외음절개술은 모두 분만 시 항문괄약근의 손상의 위험요소에 해당한다. 하지만 국내 병원에서 외음절개분만을 시행한 초산모에서의 심한 외음부열상의 빈도는 4.2% (3/71), 초음파 검사에 의한 항문괄약근의 손상 비율은 12.7% (9/71)로 그 동안 아시아 이외의 지역에서 보고된 연구 결과들에서처럼 높은 비율이 아니었다. 또한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항문괄약근 손상의 67%(6/9)는 분만 당시에는 항문괄약근의 손상을 알 수 없었던 경우 이여서 질식분만 후 초음파를 이용한 항문괄약근 검사는 의미 있는 검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examin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anal sphincter injury during vaginal delivery with episiotomy in
primiparous women using transvaginal ultrasound.
Methods: We performed a case-control study of primiparous women who delivered vaginally from March 2008 to June 2008.
Women who had fecal incontinence symptoms, hemorrhoids, a history of perineal injury or anal region operation and who delivered at preterm were excluded. The study recruited 71 patients. Transvaginal ultrasound was performed within 72 hours after delivery to examine anal sphincter integrity.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Group 1, with anal sphincter injury; Group 2, without anal sphincter injury.
Results: External anal sphincter injury was discovered in 12.7% (9/71) of patients who underwent transvaginal ultrasound.
Sixty-seven percent (6/9) of anal sphincter injuries diagnosed by ultrasound examinations were undetectable at the time of delivery. The mean external and internal sphincter thicknesses were 17.0±4.7 (mean±SD)mm and 22.1±6.1 mm, respectively, and the valu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ther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type of episiotomy and the use of a vacuum resulted in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Asian race and episiotomy both are risk factors of anal sphincter injury during delivery. However, the frequency of severe perineal laceration in primiparae who went through routine episiotomy delivery in Korean hospitals was 4.2% (3/71), and the injury rate of the anal sphincter was 12.7% (9/71), according to ultrasound examination. These results were not as high as in studies reported from regions other than Asia. Also, 67% (6/9) of anal sphincter injuries discovered in
ultrasound examinations were not known at the time of delivery.

  • Key Word : 항문괄약근, 초음파, 외음절개술, 초산, Anal sphincter, Ultrasound, Episiotomy, Primiparity
  • 교신 저자 : obdrseo@naver.com
  • 전문 파일 :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