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12권 제1호 2010년
원저


산전에 진찰된 제대 낭종의 임신 예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최노미⋅정진훈⋅김문영⋅양재혁⋅류현미⋅최준식⋅한정열⋅김민형⋅이시원⋅한유정⋅이미범⋅김신혜


Pregnancy Outcomes of Fetuses with Umbilical Cord Cyst in Prenatal Ultrasound Examination

Noh Mi Choi, Jin Hoon Chung, Moon Young Kim, Jae Hyug Yang, Hyun Mee Ryu, June Seek Choi, Jeong Yeol Han, Min Hyoung Kim, Si Won Lee, You Jung Han, Mi Bum Lee, Shin Hye Kim,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목적 :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제대 낭종이 관찰된 태아들의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관동대학교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고 임신 결과가 확인된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정기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제대 낭종이 관찰되었던 임신부를 연구군으로 하였다. 제일병원 산부인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발견 당시 제대 낭종의 크기, 개수, 낭종의 위치, 그리고 동반 기형 유무를 알아보았으며, 임신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 연구 기간 중에 초음파를 시행하였던 18,718명의 임신부 중 제대 낭종 소견이 보였던 임신부는 36예(0.16%)였고, 추적 관찰 되지 않은 7예를 제외하고 임신 결과가 확인된 29예를 연구군으로 조사하였다. 임신 제 1삼분기 때 제대 낭종이 진단된 경우는 20예로 70%였고, 이중 단독으로 제대 낭종 소견만 보인 경우가 15예, 동반 기형이 있었던 경우가 5예 있었다. 임신 제 2삼분기 및 제 3삼분기때 진단받은 제대 낭종 중 단독 제대 낭종은 8예, 동반 기형은 1예 있었고, 단독 제대 낭종의 경우 대부분 건강한 만삭 분만을 하였다. 제대 낭종을 임신 제 1삼분기 때 진단된 경우와 임신 제 2삼분기이후에 진단된 경우로 비교했을 때, 산모의 나이나 제대 개수, 위치는 차이가 없었다. 동반 기형이없는 단독 제대 낭종의 경우 대부분 건강한 분만을 하였지만, 동반 기형이 있었던 제대 낭종의 경우는 약 50%에서 염색체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제대 낭종이 보이는 경우, 동반된 기형을 확인하기 위해 정밀 초음파추적 검사가 필요하며, 동반 기형이 있을 경우 태아 염색체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동반 기형이 없는단독 제대 낭종이 관찰된 경우, 제대 낭종의 크기나 위치, 개수 및 진단 주수에 상관없이 양호한 임신결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umbilical cord cysts and the pregnancy outcomes of fetuses with umbilical cord cyst during prenatal ultrasound examination.
Method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natal sonographic findings, karyotype, and perinatal outcome in 29 fetuses with umbilical cord pseudocys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18,718 pregnant women were screened. The prevalence of umbilical cord cysts at prenatal sonographic examination was about 0.16% (36/18,718). Seven patients were lost to follow up and final study population included 29 cases. Umbilical cord cysts(UCCs) were detected at 1st trimester in 20 cases, and of these, 15 cases had isolated UCCs and 5 cases had combined anomalies. UCCs were detected at 2nd or 3rd trimester in 9 cases, and of these, 8 cases had isolated UCCs and 1 case had a combined anomaly. Maternal age, number and location of UCC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ose with UCCs detected at 1st trimester and those with UCCs detected at 2nd and 3rd trimester. Most cases with an isolated UCC delivered an healthy infant without structural abnormalities or features suggestive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but about 50% of cases with UCC with combined anomalies had chromosomal abnormalities.
Conclusion: Isolated UCCs were associated with a favorable pregnancy outcome, regardless of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number, size and location. However, UCCs with combined anomaly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structural defects. Therefore, when UCC is detected in prenatal ultrasound examination, level II sonography is needed to find any combined anomalies which further need, fetal chromosomal study.

  • Key Word : 제대 낭종, 가성 낭종, 태아 기형, 염색체 이상, 초음파, Umbilical cord cyst, Pseudocyst, Combined anomaly, Chromosomal abnormality, Ultrasonography
  • 교신 저자 : sabi0515@hanmail.net
  • 전문 파일 :

  • 논문목록을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