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학회지검색
  Home > 학회지 > 학회지검색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지 제13권 제2호 2011년
원저


염색체가 정상인 단일 제대동맥태아에서 umbilical artery와 common iliac artery 도플러파형검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산부인과학교실
이경아,박미혜,김영주,전선희


Doppler Waveforms of Umbilical Artery and Common Iliac Artery in Fetuses with a Single Umbilical Artery and Normal Karyotype

Kyung A Lee,Mi-Hye Park, Young Ju Kim, Sun Hee Chu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목적 : 정상 제대동맥 태아에 비해 단일 제대동맥 태아는 제대동맥 직경이 보상적으로 증가되어 있 으며, 한편으로는 저체중아의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단일 제대동맥 태아에서 임신 주수 변화에 따른 제대정맥과 제대동맥 직경의 변화와 제대동맥(umbilical artery) 및 총장골동맥 (common iliac artery) 도플러파형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단일 제대동맥 태아의 태반순환의 병태생리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방법 : 2002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이화여대부속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초음 파상 단일제대동맥이 진단되고 추적 관찰된 22예를 대상으로 임신주수별 제대혈관 직경과 제대동맥 및 총장골동맥의 도플러파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제대동맥의 소실부위는 좌측이 많았다. 2)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대동맥과 제대정 맥직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 제대동맥의 수축기-이완기비(ratio of peak-systolic to end-diastolic (S/D) blood flow velocities) 및 박동지수(pulsatility index, PI)는 임신주수와 역 상관관계 를 보였으나 정상체중아 및 부당경량아에서 모두 정상 범위내에 있었다. 4)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양측간 총장골동맥의 직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5) 전 임신기간 동안 양측간 총장골동 맥의 직경 및 PI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났으며, 제대동맥이 소실된측의 총장골동맥의 직경이 더 작았고, PI 값은 더 높았다. 6) 제대동맥이 있는 쪽 총장골동맥의 PI은 임신주수와 역 상관관계를 소실된 쪽의 총장골동맥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 정상 염색체를 가진 단일제대동맥태아에서 골반내 동맥 혈류량의 비대칭성은 임신주수가 증 가함에 따라 증가하나 단일 제대동맥직경의 보상적 증가 및 정상적인 제대동맥의 S/D ratio로 인하여 태반순환은 정상제대동맥태아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Umbilical artery diameters in fetuses with single umbilical artery (SUA) are known to be greater than those in fetuses with two umbilical arteries. Not all fetuses with SUA are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mbilical vein (UV) and umbilical artery (UA) diameters and Doppler waveforms of UA and common iliac artery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in fetuses with SUA and to serve an understanding of placental pathophysiology in those with SUA.
Methods: UV and UA diameters and Doppler waveforms of UA and common iliac artery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of 22 fetuses with SUA and with follow-up data between March 2002 and March 2010.
Results: 1) The more advanced the gestational age was, the greater the UV and UA diameters were (p<0.05). 2) The more advanced the gestational age was, the lower the ratio of peak-systolic to end-diastolic (S/D) blood flow velocities and PI in UA (p<0.05). However, the values of the S/D ratio and PI of UA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in both the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group and the SGA group. 3) The more advanced the gestational age was, the larger the common iliac artery diameters were (p<0.05). 4) Throughout the pregnancy, the common iliac artery without UA showed smaller diameter and higher PI than that with UA (p<0.05). 5) We foun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PI of the common iliac artery with UA and the gestational age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I of that without UA and the gestational age, but failed to reach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r= - 0.12, p>0.1 and r=0.23, p>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symmetry of arterial blood flow in the pelvis in fetuses with a SUA and normal karyotype increases with advancing gestational age. However, there might be no difference in placental circulation between fetuses with a SUA and those with two UAs because of compensatory increase in UA diameters and normal S/D ratio.

  • Key Word : Common iliac artery Doppler, Normal karyotype; Single umbilical artery; Small for gestational age; Umbilical artery Doppler
  • 교신 저자 : ewhapmh@ewha.ac.kr
  • 전문 파일 :

  • 논문목록을 봅니다.